그림으로 이해하는 AWS구조와 기술 - 1장 읽고 정리
1장. 아마존 웹서비스 기초 지식
1-1. 아마존 웹서비스란?
*개념
AWS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그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란 무엇인가? 서버 및 네트워크 등을 인터넷으로 빌려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아마존이라는 회사가 사용자한테 서버나 네트워크 등을 돈받고 빌려주는것이다.
원래 이전부터 서버를 빌려주는 서비스는 있었다. 그런데 AWS는 운영체제,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등 전체 인프라 등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전부를 빌려준다.
*요금 지불 방식
종량제로, 사용한만큼 지불한다는 뜻이다.
같은 양을 계속 빌려야하는 정액제 임대와 달리 우선 현재 필요한만큼만 사용하다가 추가로 사용할때 결제를 더 하면된다.
*특징
네트워크나 서버 전문가가 아니어도 컴퓨터 웹 브라우저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누구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AWS에서 제공하는 대부분의 서비스가 한국어를 지원한다.
APN(Amazon Partner Network)이라는 아마존의 파트너 기업이 AWS도입을 지원하기 떄문에 기업 차원에서 기술 도입시 상담을 받을 수 있다.
국내외 보안 통일 기준을 준수하고있고 한국에서도 ISMS인증을 취득했다.
AWS는 서버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데이터 센터를 전 세계 21개 지역의 66개 시설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한국의 경우 서울에 있다. (이책이 2021년발행인데, 최근뉴스에 따르면 울산에 데이터센터를 지어서 2027년 운영목표라고 한다.)
1-2. AWS의 서비스
AWS는 165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IT전반적인 인프라를 대부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IT계의 쿠팡, 다이소같은 느낌이다.
일상 기능외에 잠깐 테스트하고싶은 상황에 유용하다고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하면 웹사이트 구축이 대표적으로 떠오르지만 최근에는 사내 업무시스템을 AWS로 구축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한다.
목적에 따라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 웹 서버 구축 : EC2(서버), S3(스토리지), Elastic IP (주소), Route 53(도메인), RDS(DB)
- 모바일 시스템 구축
- 콘텐츠 배포
- IoT 구축
- 머신 러닝 개발
- 로봇 개발
- 인공지능
- 인공위성
- 블룩체인
1-3. AWS의 비용
초기 비용은 저렴하지만 운영 비용이 비싸다. 그러나 AWS를 도입함으로써 서버나 네트워크 전문가를 고용하지 않아도 되니 전체적으로 생각하면 경제적일 수 있다.
서비스 비용 체계에 따르면, 이벤트나 캠페인과 같이 돌발적으로 접속 수가 증가하는 웹사이트의 경우에 AWS의 유연성이 장점이라고 한다. 작은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사용하기 적합한것 같다.
1-4. AWS의 사용방법
* 관리 콘솔
웹 브라우저의 GUI로 AWS를 조작하는 화면이다. 서비스별로 고유 대시보드가 있다.
* 매니지드 서비스
AWS가 관리하는 서비스를 통칭하여 managed service라고 한다.
매니지드 서비스는 백업과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량에 대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서버는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컴퓨터처럼 껐다 켰다 하는게 아니라 24시간 돌아가야한다.
그래서 보안이 특히 중요한데, 안정적으로 서버를 운영하려면 방화벽으로 막거나, os나 소프트웨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취약성을 막아야한다.
매니지드 서비스는 SW업데이트도 자동화되어있다는 면에서 보안이 안전한편이다.
1-5. AWS의 도입사례
공식 사이트를 가면 도입사례를 볼 수있다고 한다. 국내대기업, 공기업에서 도입해서 사용중이라고 한다.